우리 밥상에 흔히 올라오는 구수한 청국장이 고지혈증으로 인한 대장벽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분자대사영양학연구실 김지우 학부연구생(3년)이 최근 열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청국장의 건강기능효과에 대한 기전연구를 포스터로 발표해 우수포스터상을 받았다.
김지우 학생은 이번 연구에서 고지혈증으로 인한 대장벽 손상이 청국장 섭취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분자대사학적 근거를 제시했고, 장내미생물 군집의 균형 회복이 장 손상 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작용기전을 규명했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에서도 전통 발효식품의 기능을 현대 분자대사영양학에 접목시켜 K-푸드 기반의 기능성 식품 연구로 확장할 수 있음에 주목했다.
이번 연구는 전북대 식품영양학과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이 공동 수행한 ‘2025 전통 장류 기능성 규명(안전성 모니터링) 사업’의 결과로써, 전북대 식품영양학과가 전통 발효식품 연구와 현대 분자대사영양학을 접목해 ‘K-푸드 기능성 연구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김지우 학생은 “학부 2학년 때부터 연구실에 들어와 실험과 분석을 배우며 한 걸음씩 성장해왔다”며 “이번 수상은 함께 연구한 교수님과 선배들 덕분이며, 학부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해 장내미생물과 대사질환의 관계를 더 깊이 탐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안나 지도교수(전북대 식품영양학과)는 “학부생이 연구 참여 1년 만에 학회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내고 수상까지 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며 “실험 과정에서 보여준 꼼꼼한 집중력과 탐구정신이 돋보였다. 앞으로도 학생들이 연구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