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커피 찌꺼기 활용 단열재 기술, 기술이전으로 상용화된다

    • 홍보실
    • 2025-11-26
    • 조회수 116

    전북대학교가 보유중인‘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생분해성 단열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가 추진 된다.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손정민)은 부경하이텍(대표 정종균)과 11월 24일 오후4시 1억 원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손정민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부경하이텍 정종균 대표, 기술의 개발자인 김성륜 교수(대학원 탄소융복합재료공학과)등이 참석하여 협력 의지를 다졌다.

     

    이번 계약은 탄화 커피박 기반 생분해성 단열재 원천기술을 자동차 경량 단열 부품 개발에 접목하는 것에 있어 그 의미가 크다. 전기차와 친환경차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경량·고단열 소재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해당 기술은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김성륜 교수팀은 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다공성 탄소 기반 단열재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0.04 W/m·K 수준의 저열전도도, 친환경 용매 기반 제조 공정, 다공성 필러 복합화 기술 등 핵심 요소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건축, 모빌리티, 배터리 모듈 단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기술을 이전받은 부경하이텍은 2022년 전북 군산국가산업단지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이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ESG 규제 강화에 대응해 바이오 기반 신소재 확보가 주요 과제로 떠오른 상황에서 이번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용 기능성 단열 부품, 경량 단열 내장재, 차체용 열안정화 소재 등 차세대 제품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본 기술이전 계약을 계기로 ▲단열재 구조·성능 실증 ▲경량 단열 부품 공동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수립 등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기술을 개발한 김성륜 교수는“바이오 기반 단열재가 자동차 산업에 본격 적용되는 의미 있는 사례”라며 “향후 다양한 산업군과 협력해 친환경 단열 기술의 응용 범위를 더욱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해당 기술 특허의 지분 20%를 보유한 김성진 박사과정생(탄소융복합재료공학과)은 “학생 신분으로 개발한 기술이 큰 규모의 기술이전으로 이어지고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경험을 하게 되어 자부심과 희열을 느낀다”며 “연구에 더욱 매진해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 인재가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정종균 부경하이텍 대표는“전북대의 독보적인 단열재 기술력과 당사의 제조 역량이 결합해 새로운 기술 경쟁력이 창출될 것”이라며 “전기차 시대가 요구하는 경량·친환경·고단열 성능을 갖춘 차세대 부품 개발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손정민 산학협력단장은“이번 기술이전은 전북대학교의 연구성과가 지역기업의 신사업으로 연결되는 대표적 산학협력 모델”이라며“앞으로도 지역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기술 발굴과 기술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기술이전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K-카본 플래그십 기술개발사업’(RS-2024-00420431) 및 해상 P2G 그린수소 육·해상 운송용 수소 저장 플랫폼 기술개발 과제, 학연협력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RS-2023-00304743)를 통하여 창출된 성과이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