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우리대학, 美 CSIS 무대서 한·미 방산 협력 기반 다졌다

    • 홍보실
    • 2025-09-23
    • 조회수 360
    전북대학교가 미국 워싱턴 D.C.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2025 방위사업청-CSIS 컨퍼런스(2025 DAPA-CSIS Conference)’에 국내 대학 최초로 참여하며 글로벌 위상을 크게 높였다.

    이번 행사는 9월 17일(현지시간) ‘첨단기술 및 공급망 회복력 제고를 위한 한·미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주제로 열렸으며,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해리 해리스 전 주한미국대사(前 인도태평양사령관), 마이클 바카로 미 국무부 차관보 등 한·미 양국의 고위급 인사와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 양오봉 총장은 개회 축사를 맡았다. 양 총장은 이 자리에서 “한·미 동맹은 무기 구매와 기술 이전을 넘어 공동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로 확장되고 있다”며 “전북대학교는 첨단방위산업학과를 중심으로 드론, 우주, 사이버, 피지컬 AI 등 신흥 분야에서 인재를 길러내며 이러한 글로벌 흐름 속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첨단 방산 인재 양성은 곧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며 “방위사업청과 CSIS, 그리고 세계 유수 대학들과 함께 국제적 연구 협력과 인재 양성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기조연설, 공개·비공개 세션, 만찬 등이 이어지며 한·미 양국의 방산 협력 전략을 심도 깊게 논의했다. 전북대에서는 양 총장 외에도 강은호 교수(전 방위사업청장), 장원준 교수가 패널로 참여해 학문적 전문성과 정책적 통찰을 공유하며 의미를 더했다.

    전북대가 이번 CSIS 무대에 오른 것은 국내 대학 중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북대는 이번 기회를 통해 글로벌 전략 교류를 본격화하고, 국제 공동연구와 인재 양성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양오봉 총장은 “이번 참여는 단순한 학문 교류를 넘어 한국의 방산·과학기술 역량을 국제무대에서 제도화하고, 한·미 동맹의 기술 협력 지평을 넓히는 실질적 성과”라며 “방위산업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전북대학교가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미래 방산·우주·AI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거점 대학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