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안상민 교수팀, AI·나노분석으로 모발 손상 과정 규명

    • 홍보실
    • 2025-09-15
    • 조회수 74

    최근 뷰티·바이오 분야에서 인공지능(AI)과 나노분석 기술을 결합한 신소재 연구가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전북대학교 연구팀이 머리카락에 산화염색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나노 수준의 손상 과정을 원자힘현미경(AFM) 기반 나노역학 분석과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cGAN)을 결합해 다중 스케일에서 규명해냈다.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안상민 교수 연구팀(공동연구 최형국·조명래·송태근 교수)은 이번 연구 성과를 재료 및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VIEW』 최신호(2025년 9월 3일자, 논문제출일 기준 IF 9.7 / JCR 상위 6.6%)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모발 손상 규명을 넘어, AI 기반 나노 분석 플랫폼을 통해 섬유와 바이오 소재, 고분자(폴리머) 등 다양한 첨단 소재 연구로 확장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SEM)과 원자힘현미경(AFM)으로 얻은 나노스케일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cGAN)을 학습시켜, 염색 과정에서 머리카락이 어떻게 손상되는지를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AI는 실험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염색 중간 단계’의 머리카락 내부 변화를 가상으로 재현해, 손상이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 결과, 염색 시간이 길어질수록 머리카락의 영률(Young’s modulus)이 점차 낮아지고, 3 GPa 이하의 저강도 영역이 확대되며, 표면 거칠기와 손상 스팟이 뚜렷하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정량적으로 확인됐다.

     

    연구 책임자인 안상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AI 기반 예측 모델을 통해 머리카락 손상 과정을 정량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AI-나노분석 융합 플랫폼을 확장해 차세대 화장품, 바이오 소재, 섬유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연구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한국연구재단 G-램프(G-LAMP) 사업 등을 통해 수행됐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