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교육정책/주요대학소식

    마감

    ~

    부총리는 과기부로, 차관보 자리도 폐지 수순…교육부 입지 좁아지나

    • 전북대학교
    • 2025-09-12
    • 조회수 53

    부총리는 과기부로, 차관보 자리도 폐지 수순…교육부 입지 좁아지나

    김민상 기자  이보람 기자 

    중앙일보 입력 2025.09.08 17:51 업데이트 2025.09.10 08:38

    지난 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진 사회부총리 자리가 11년 만에 사라지게 됐다. 교육부는 장관이 겸임하던 부총리 자리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내주면서 차관보를 폐지하는 등 조직을 일부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당정이 전날 밝힌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라 일부 업무를 정리하는 수순을 밟게 될 예정이다. 현행 정부조직법에 따르면 교육부 장관이 겸임하는 (사회)부총리는 사회·문화·교육 정책에 관해 관계 기관을 총괄하는 업무를 맡았다. 이를 위해 2019년 문재인 정부에서 차관보 자리도 신설했다.

     

    2008년 과학기술부가 교육부에 통합되며 폐지됐던 과기부총리제가 17년 만에 부활하게 되면 차관보 자리도 옮겨갈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차관보 자리에 관한 질문에 “(정부조직 개편) 큰 틀에서 방향이 제시됐고, 구체적 법안에 대해서는 아직 제정 중이라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의 대학 교육과 관련한 행보가 눈에 띄게 커지고 있어 대학가에선 교육부의 입지가 약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최근 과기부 장·차관은 잇따라 대학을 방문하며 인공지능(AI) 교육과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은 지난달 14일 2030년까지 인공지능 전환(AX) 대학을 15개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직접 발표했다.

     

    교육계에선 과기부가 11조8000억원에 달하는 연구개발(R&D) 예산을 토대로 대학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한 교육 단체 관계자는 “교육부가 향후 대학  관련 예산을 둘러싸고 과기부와 씨름을 하게 되면 갈등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현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

    이현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

    한편 이날 대통령실 교육비서관에 사교육 업계 출신이 내정됐다는 보도에 교육계에선 반발이 나왔으나, 대통령실은 이를 부인했다.

     

    이날 강유정 대변인은 '이현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이 교육비서관에 내정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니라고 알고 있다"고 답했다. 강 대변인은 이 이사장의 내정설에 교육단체들이 반발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내정이) 아니기 때문에 답할 필요가 없다"며 사실이 아님을 강조했다.

     

    내정설이 돌던 이현(61)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은 사회탐구 일타 강사 출신으로 사교육 업체를 설립한 경력이 있다. 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인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된 이후 학원가로 발을 디뎠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 등 39개 시민단체는 이날 “이현 이사장은 사교육 업계로부터 비판을 받은 적이 없다”며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대통령의 약속에 대한 기대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교조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현 이사장은 저서에서 교사를 이익집단으로 매도하며 학생부 중심 전형을 선호하는 이유를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욕망으로 해석했다”며 “아직도 이러한 시각을 갖고 있다면 교육비서관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민상·이보람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06-0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