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판데아닐 연구원, 세계적 학술지 메인 커버 장식

    • 홍보실
    • 2025-09-10
    • 조회수 187

    전북대학교 화학과 판데아닐 연구원(박사수료, 지도교수 한재량)의 연구가 미국화학회 학술지 ACS Applied Engineering Materials의 8월호 메인 커버 아트에 선정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으로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는 비스페놀A, 메틸렌 블루, 테트라사이클린, 이부프로펜 등 난분해성 유기 오염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념의 광촉매를 개발한 것이다. 난분해성 유기 오염물질 처리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팀은 아연산화물(ZnO)과 은산화물(Ag₂O)의 p-n 헤테로접합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s)를 결합한 삼원 복합체(ZnO-Ag₂O@MWCNTs)를 간단한 습식합성과 고압 열처리로 구현했다.

     

    그 결과, 태양광 모사 조건에서 비스페놀A를 50분 만에 92.4% 제거하고, 메틸렌 블루·테트라사이클린·이부프로펜 등 유색염료 및 의약물질도 15분 내 90% 이상 분해하는 탁월한 성능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논문을 평가한 심사위원단은 “탁월한 오염물질 제거 효율과 반복 사용에도 유지되는 안정성, 간단하면서도 재현성 높은 합성법은 환경정화 기술에 새로운 지평을 연다”고 극찬했다. 메인 표지 선정 과정에서도 만장일치의 호평을 받았다.

     

    판데아닐 연구원은 “이번 연구 성과는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 사회 구현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동시에 충족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향후 하·폐수 처리와 산업현장 배출수 정화 등 실환경 적용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4단계 BK21 사업과 지역대우수과학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