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교육정책/주요대학소식

    마감

    ~

    전북도, 이차전지 전주기 생태계 구축…국비 200억 확보

    • 전북대학교
    • 2025-08-14
    • 조회수 15

    전북도, 이차전지 전주기 생태계 구축···국비 200억 확보

    /전북특별자치도청 전경.

    /전북특별자치도청 전경.

    전북특별자치도가 이차전지 국가 전략기술 확산의 핵심 거점으로 떠올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기술혁신허브 육성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며, 친환경·고성능 이차전지 소재 산업의 글로벌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7일 전북도에 따르면, 이번 선정으로 도는 향후 5년간 국비 200억 원을 확보하게 됐다. 이를 통해 K-배터리 산업의 핵심 축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전주기 산업 생태계 구축의 기회를 잡았다. 총사업비는 지방비 50억 원, 민간 투자 41억 원을 포함한 291억 원 규모다.

     

    정부는 급변하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과 자원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지역 기반의 전략 기술 육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지역 혁신 역량을 집약해 첨단산업 중심의 국가 기술자립을 실현하겠다는 정책 방향과 맞닿아 있다. 도의 선정은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지방 주도형 기술 혁신의 대표 모델로 평가받는다.

     

    도는 공모 과정에서 '친환경·고성능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허브’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차전지 산업의 공백 영역을 선제적으로 발굴·육성하고, 맞춤형 R&D, 기술사업화, 글로벌 진출 전략까지 일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업은 전북테크노파크가 총괄하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한솔케미칼, 성일하이텍, 나노솔루션, 전북대, 군산대,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생산기술연구원, 유닉, 원투자파트너스 등 도내 11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한다. 이들은 지난 5개월간 기획위원회를 구성, 전북형 실행 전략을 함께 수립해왔다.

     

    핵심 전략은 ▲리튬인산철(LFP) 리사이클링 기술 확보 및 공급망 구축, ▲실리콘 음극재 성능 고도화 및 초격차 기술 확보, ▲전략기술 확산과 글로벌 산업생태계 활성화 등이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리튬 순도 99% 이상 확보 ▲실리콘 함량 20% 이상 음극재 개발 ▲1500억 원 이상의 매출 창출 ▲140명 이상 신규 고용 유발 등의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전략의 동력은 급변하는 대외 환경에 있다. 중국의 자원 무기화,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CRMA), 전기차 시장의 급속한 확대 등으로 인해, 핵심소재 기술 자립과 안정적 공급망 확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 산업 생존의 문제가 됐다.

     

    도는 이에 대응하고자 초격차 기술 중심의 지역 R&D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에서 시작되는 국가 전략기술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신원식 전북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이번 선정은 전북이 국가전략기술 확산의 실질적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전환점”이라며 “특히 침체된 이차전지 산업에 단비 같은 활력을 불어넣을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06-0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