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스마트팜학과 대학원생들, 한국원예학회서 연구 ‘주목’

    • 홍보실
    • 2025-08-01
    • 조회수 220

    전북대학교 스마트팜학과 대학원생들이 간척지 맞춤형 관개 모델과 케일 생장 예측 모형 개발 등 첨단 작물모형 연구를 통해 한국원예학회 춘계학술발표회에서 주목을 받았다.

     

    최근 경주에서 개최된 제121차 한국원예학회 춘계학술발표회에서 전북대 문준우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이준우)은 ‘간척지 지역에서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재배의 관개 요구량 추정을 위한 기준 증발산 모델 평가’라는 주제로 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간척지의 특수한 기후 조건을 반영해 양배추 재배 시 적정한 관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증발산 모델을 평가한 것으로, 향후 간척지 농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석승원 석사과정생(지도교수 김태곤)은 ‘케일의 일단위 엽팽창 속도 및 동화산물 추정 모형 개발’을 주제로 한 포스터 발표로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케일의 생육 과정을 수치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작물 생육 모델을 설계한 것으로, 하루 단위 케일의 발생 속도와 잎 면적 확장 속도를 정밀하게 추정해 실질적인 생육 예측과 생산성 향상에 활용도가 기대된다.

     

    김태곤 스마트팜학과장은 “연구시설이 아직 다 갖춰지지 않은 환경에서도 우리 학생들이 밤낮으로 연구에 매진해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며 “앞으로도 첨단기술 기반의 농업혁신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북대 스마트팜학과는 작물모형, 환경제어, 자동화 기술 등 스마트 농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미래 농업의 고도화를 이끌 핵심 인재 양성의 산실로 주목받고 있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