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정광운 교수 연구팀이 한국자동차연구원 윤원진 선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최유진 선임연구원과 공동으로 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차세대 스마트 윈도우 소재를 개발했다.
기존의 액정 기반 스마트 윈도우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력 소비가 필요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인가 전압이 요구되어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자외선(UV) 반응성 물질을 열방성 액정(thermotropic liquid crystal)에 소량 혼합하여, 빛과 온도 변화에 따라 스스로 투명도와 채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차세대 스마트 윈도우는 자외선이 강하거나 기온이 높을 경우 자동으로 빛을 차단하고, 자외선이 없고 온도가 낮을 때는 자연 채광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췄으며 별도의 전력 공급 없이도 작동 가능해 에너지 절감형 윈도우 기술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19, JCR 상위 4.2%) 2025년 7월호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어 출판되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통해 기존 스마트 윈도우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친환경 건축물과 미래형 모빌리티 등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 기술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학술연구지원사업 및 NATO Science for Peace and Security 프로그램, 부착형 디스플레이 기술 인프라 구축사업과, KRICT 기본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