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우리대학, 작물모형 심포지엄 및 Cropbox 워크숍 성료

    • 홍보실
    • 2025-07-23
    • 조회수 237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학과가 주최한 ‘2025 작물모형 심포지엄 및 Cropbox 워크숍’이 지난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 전북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전북대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국립농업과학원이 공동 주관했으며, 지난 2023년에 열린 첫 번째 행사 이후 2년 만에 마련된 자리다. 학계와 정부 연구기관, 산업계 전문가 120여 명이 참석해 최신 작물모형 기술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실용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태곤 전북대 스마트팜학과장의 환영사로 시작된 첫날 심포지엄에서는 김수형 워싱턴대 교수의 수목 생리모델링, 정선우 전남대 교수의 블루베리 생장 예측 모델, 노형민 서울대 교수의 상추 온도 반응 예측, 김성겸 경북대 교수의 오이·딸기 생장 모델, 김준환 한국농수산대 교수의 벼 작황 예측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들이 소개됐다.

     

    특히 전북대 스마트팜학과 이준우 교수는 원예작물 증발산 모델 개발 사례를, 윤경담 교수가 Cropbox 기반 민감도 분석 사례를 발표하며 학과 연구 역량을 선보였다.

     

    또한 국립농업과학원의 허승오 연구관이 토양수분 모델링,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의 이성은 연구사가 양파 생장 모델 개발을 소개했고, 산업계에서는 에피넷 백성훈 부장이 AI 기반 병해충 예측 모델 개발 사례를 제시하여 작물모형 기술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작물모형의 정밀성 향상과 사용자 친화적인 도구 개발, 농업 현장과의 연계 방안 등 현실적인 과제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둘째 날 진행된 Cropbox 워크숍에서는 윤경담 교수(전북대)가 작물모형의 기본 개념과 Cropbox 프레임워크 구조를 소개하고, SIMPLE 모형 구현 및 마늘 생장 모형 실습이 진행됐다. 정선우 교수(전남대)는 ABA 기반 블루베리 생장 예측 모델 실습 교육을 통해 본인의 모델링 연구 경험을 참가자들과 직접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태곤 스마트팜학과 학과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디지털·스마트농업 핵심 기술인 작물모형 분야에서 학계, 연구기관, 산업계가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전북대는 앞으로도 미래 농업을 이끌어 갈 핵심 기술 개발과 실무형 인재 양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