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이용철 교수팀, AI로 난치성 폐질환 진단 연구 ‘주목’

    • 홍보실
    • 2025-06-24
    • 조회수 221

    전북대학교 난치성 호흡기 치료제 개발 연구소 이용철 석좌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폐질환을 AI를 활용해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연구로 세계적 권위의 국제 학술대회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이 교수팀은 최근 열린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국제학술대회(KAAACI International Conference 2025)에서 ‘Outstanding Oral Presentation Awards – Excellence Prize’를 수상했다.

     

    이번 학회는 전 세계 28개국 750여 명의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 전문가들이 참가해 240편 이상의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한 국제적 행사로 치러졌다.

     

    이 교수팀은 ‘A novel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assist early diagnosis of United Airway Disorders’라는 연구를 통해 통합기도질환 중 하나인 범모세기관지염의 조기 진단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진단기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에는 이용철 석좌교수를 중심으로 전북대 의대 김종석, 정재석, 채금주, 이환진 교수 등이 공동 참여해 난치성 호흡기 질환의 진단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새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현재 의료계 전반에도 신약개발과 정밀의료 등에서 AI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교수팀은 전북대병원이 지난 10년 이상 축적해온 환자 데이터를 포함한 다차원 실사용데이터(RWD)를 기반으로 초정밀 맞춤형 호흡기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용철 교수는 “AI는 신약 개발과 정밀 치료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통합기도질환 및 난치성 호흡기 질환의 치료제 개발과 진단에 있어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북대 난치성 호흡기 치료제 개발 연구소는 이용철 석좌교수를 중심으로 의과대학, 약학대학, 수의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진공용, 정명자, 김종승, 정재석, 채한정, 민경현, 강지현 교수, 그리고 하버드의대 박진아 교수 등이 참여하는 다학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흡입형 난치성 천식 치료제를 개발한 바 있으며, 이후 코로나19 치료제, 중증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호흡기 질환 전반에 대한 치료제 및 신약 후보물질 연구를 통해 바이오 신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용철 교수는 “중증 통합기도질환을 포함한 난치성 폐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제 개발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라며 “우리의 연구가 난치성 질환 치료의 새로운 길을 열어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이 교수는 차세대 의학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한 ‘노벨상을 꿈꾸는 임상의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전국 의대생들에게 기초 및 임상 연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회장,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호흡기 및 알레르기 질환 연구의 권위자로, 국내외 의학계에서 활발한 연구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