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세미나
제목
물리학 콜로퀴엄(3월 17일)
과학기술학부 | 2005-03-14 | 조회 1491
본문 내용
□ 제 목 : 용액 내에서 나노-생체분자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특성평가를 위한 새로운 단일분자검출 및 조작기술의 개발
□ 연 사 : 강성호 교수(전북대학교 화학과)
□ 일 시 : 2005년 3월 17일(목) 오후 4시
□ 장 소 : 공동실험관 1호관 물리학과 213강의실
□ 내 용 : 최근 단일분자검출 (single molecule detection) 기술은 다양한 생명과학 (life science)의 분야에 많은 관심의 집중을 불러 모으고 있다.용액 내의 단일생체분자 (single biomolecules)의 관측 및 조작기술은 화학이나 물리학뿐만 아니라 분자유전학, 바이오칩 어셈블, 바이오센서 디자인, DNA나 단백질의 생물리학 연구를 비롯하여 전기영동 (electrophoresis) 이나 크로마토그래(chromatography) 같은 분리과학의 기본적인 분리이론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일반적으로 용액 내의 초감도(ultra-sensitive)의 분석 및 생물리적 응용을 위한 단일생체분자의 검출은관심이 있는 분자에 형광물질을 결합하여 검출하는 형광검출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런 실험의 결과들이 단일분자 수준에서진행되고 있으나, 엄격히 말하면 그것은 단일생체분자자체에서 오는 결과가 아니라 단일생체분자와 형광물질의 유도체에서 오는 결과들이다. 따라서 형광다이 (fluorescent dye)와 결합 없이 순수한 단일-생체분자 자체 (native single-biomolecule)의 모니터링을할 수 있는 새로운 단일생체분자검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액 내에서 실시간으로 순수한 단일유전자분자 (single native DNA molecule)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단일분자검출 방법인 빛의 미분간섭효과를 이용한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검출법과 수십 nm의 유전자 (DNA)도 검출이 가능한 레이저유발 전반사형광현미경법 (laser-induced total internal reflection fluorescence microscopy) 등을 소개한다.
□ 연 사 : 강성호 교수(전북대학교 화학과)
□ 일 시 : 2005년 3월 17일(목) 오후 4시
□ 장 소 : 공동실험관 1호관 물리학과 213강의실
□ 내 용 : 최근 단일분자검출 (single molecule detection) 기술은 다양한 생명과학 (life science)의 분야에 많은 관심의 집중을 불러 모으고 있다.용액 내의 단일생체분자 (single biomolecules)의 관측 및 조작기술은 화학이나 물리학뿐만 아니라 분자유전학, 바이오칩 어셈블, 바이오센서 디자인, DNA나 단백질의 생물리학 연구를 비롯하여 전기영동 (electrophoresis) 이나 크로마토그래(chromatography) 같은 분리과학의 기본적인 분리이론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일반적으로 용액 내의 초감도(ultra-sensitive)의 분석 및 생물리적 응용을 위한 단일생체분자의 검출은관심이 있는 분자에 형광물질을 결합하여 검출하는 형광검출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런 실험의 결과들이 단일분자 수준에서진행되고 있으나, 엄격히 말하면 그것은 단일생체분자자체에서 오는 결과가 아니라 단일생체분자와 형광물질의 유도체에서 오는 결과들이다. 따라서 형광다이 (fluorescent dye)와 결합 없이 순수한 단일-생체분자 자체 (native single-biomolecule)의 모니터링을할 수 있는 새로운 단일생체분자검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액 내에서 실시간으로 순수한 단일유전자분자 (single native DNA molecule)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단일분자검출 방법인 빛의 미분간섭효과를 이용한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검출법과 수십 nm의 유전자 (DNA)도 검출이 가능한 레이저유발 전반사형광현미경법 (laser-induced total internal reflection fluorescence microscopy) 등을 소개한다.
이 페이지에 대한 의견을 주세요